상황 1. 구조사무실에서 받은 보 list대로 Structure Beam Family를 만들어야 하는데,
보 종류가 180가지일 때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은?
상황 2. 책상 패밀리가 필요해서 로드를 했더니 project browser에 유형(type)이 3251가지가
뜰 때, 게다가 이런 가구를 10개 더 넣어야 할 때. ㅎㅎㅎ
특정 패밀리의 필요한 유형(Type)만 로드하는 방법은?
TIP!
.rfa파일과 같은 이름의 .txt파일이 동일한 폴더 안에 있을 때, .txt파일은 .rfa의 파라메터를 정의한다. 이는 프로젝트에 .rfa를 로드할 때 type을 고를 수 있는 창이 뜨면서 실행된다.(그림1 참조)
그럼 구체적으로 작업을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먼저 작업하고 싶은 패밀리를 open한다.(프로젝트에 Load 하는 것이 아니다)
2.export에 family type을 선택해서 해당 패밀리와 같은 폴더에 저장한다.
3..txt를 엑셀에서 open한다.
4.순서대로 옵션이 나타나는데 구분기호에 쉼표를 반드시 체크해주고 다음을 눌러서 엑셀시트로 진입한다.
5.목표로하는 작업을 일반 엑섹 작업하듯이 작업한다.
6.파일 저장은 cvs(쉼표로 구분)로한다.
7.csv파일의 확장자를 .txt로 수정한다.(윈도우 탐색기에서 "보기-파일확장자명"을 체크하면 확장자를 수정할 수 있다)
추가. 이 방법으로 엑셀을 패밀리와 연동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도중에 몇가지 보 유형이을 추가할 때. 혹은 다시 전체 패밀리 이름 체계를 수정하고자 할 때.
1. 위에서 본 방법 처럼 다시 txt파일로 내보내고 엑셀에서 읽어들인다.
2. 보 이름을 원하는데로 수정하고 cvs를 txt로 변경한 다음 다시 레빗에서 로드한다.
3. 이때는 모든 요소를 다시 로드하게 되면, 기존에 존재하던 레빗 유형들이 1:1 (엑셀 셀 순서기반으로) 교체된다.
더 좋은 방법이나 잘못된 내용에 대한 제보는 언제나 환영합니다~
'Parametric Design > 13. REVIT 툴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 exchange from Rhino Grasshopper to REVIT (0) | 2015.06.02 |
---|---|
라이노의 Geometry를 레빗에서 도면화 하는방법 (옵션) (0) | 2015.06.02 |
10 Revit supplementary files and where they are located by default… (0) | 2015.05.30 |
!!REVIT 패밀리중 일부가 Cut Plane위의 패밀리인데도 Plan뷰에서 계속 나타날때 해결법!! (0) | 2015.05.28 |
REVIT Fomular 알아보기 (0) | 2015.05.24 |